티스토리 뷰


"희망은
지표면의 가장 낮은 곳에서 자라난다.

숲과 산과 강이 자신들을 보호한다는 사실을 깨닫고 일상적인 투쟁에 나선 사람들의 어깨동무 안에서 자라난다."

 

- 아룬다티 로이

[이것이 모든 것을 바꾼다] 발췌

 


 

Arirang TV의 탄소발자국 저감 캠페인 [The GREENers](더 그리너스)에서
나무읽는목요일 프로젝트의 첫 문장, 아룬다티 로이의 글을 소개했습니다.

2분 30초의 영상, 아리랑 티비 채널에서 이번 주 유동적으로 여러 번 방영됩니다.

 


 

The GREERners 2회
버려지는 철사에 새 삶을 주는 철사 아티스트, 좋아은경

 

The GREERners Ep.2
Wire sculptor giving discarded wires a new life, yoa Eunkyung K

 

 


티스토리 뷰

나무읽는목요일 퍼포먼스: TreesThursdays on body / in mind

좋아은경, 2022

 

레이첼 카슨의 "자연의 어떤 것도 홀로 존재하지 않는다(In nature, nothing exists alone. - Rachel Carson)"를 함께 읽고 '새기는' TreesThursdays on body / in mind 퍼포먼스를 이어가고 있다.

이는 나무와 숲에 관련된 글귀를 철사로 필사해 매주 목요일마다 공개하는 #나무읽는목요일 프로젝트의 100번째 문장이다.

얼마간 몸에 지니고 다니며 그 뜻을 음미하는 쉼표, 가 되기를.

 

nothing exists alone(나무읽는목요일), 좋아은경, 2022, 폐철사

 

In nature, nothing exists alone 문장 낭송, 2022 녹색여름전, 그린캔바스

티스토리 뷰

▲ 좋아은경 'TreesThursdays (on body/in mind)'


자연의 어떤 것도 홀로 존재하지 않는다
― 레이첼 카슨, 침묵의 봄, 1962

#나무읽는목요일 100번째 문장을 함께 읽고 '새기는' 퍼포먼스로 녹색여름전에 참가합니다.
얼마간 몸에 지니고 다니며 그 뜻을 더 깊이있게 음미하는 쉼표, 가 되기를 바랍니다.

With my 100th #TreesThursdays sentence and the performance that put it on your body, I am participating in the Green Summer exhibition curated by Hoseob Yoon, which runs in Seoul, Korea.

 



녹색여름전
2022.8.31(수) - 9.30(금)
오전 11시 - 오후 5시 휴관 없음, 입장료 없음
그린캔바스(북한산우이역 2번 출구)
https://place.map.kakao.com/1860470153

주최: 그린캔바스
후원: 매터스인류크, 범우연합, 보틀팩토리, 송석재단, GREENSEEDS, STAEDTLER

 

 

" 2021 녹색여름전 Green Summer "

 

greencanvas.com

 

 


티스토리 뷰

버려지는 철사로 환경을 위한 메시지 전하는 좋아은경 작가
에디터_ 최유진(yjchoi@jungle.co.kr)
자료제공_ 좋아은경(www.yoaek.com)

전문읽기: https://www.jungle.co.kr/magazine/201867

몇 달 전 그린디자이너 윤호섭 교수를 인터뷰하고 나서 그때의 감동과 여운을 기억하기 위해 잘 보이는 곳에 그의 손그림이 그려진 메모를 붙여 놓았다. 그가 디자인한 친환경 달력과 함께 있던 2020이라는 년도가 쓰여있던 종이인데, 미소를 짓고 있는 얼굴 모양이 예쁘기도 하고, 무엇보다 중요한 메시지를 가족이 함께 기억하며 생활하고자 하는 바람에서였다.

그 덕에 온 가족이 열심히 분리배출을 하게 됐고, 비닐이나 플라스틱 일회용기들 앞에서 불편해지기 시작했으며, 환경을 지키기 위한 여러 활동들을 찾아보기에 이르렀다. 그러던 중 ‘일회용품 없는 여행 프로젝트’를 알게 됐다. 바다 동물들의 뱃속에 가득 찬 플라스틱을 보고 ‘혹시 내가 버린 것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었던 좋아은경 작가의 제로 웨이스트 여행기로, 플라스틱 쓰레기를 만들지 않기 위해 텀블러, 밀폐용기, 장바구니, 수저를 들고 다니며 여행을 실천한 내용이었다. 그의 환경을 위한 실천에 관심이 갔고, 어떤 작업을 하는지 알고 싶어졌다.

좋아은경 작가의 와이어 아트. 버려지는 철사로 만든 작품들이다.

 

좋아은경 작가는 와이어 아티스트다. 버려진 철사로 동물, 드로잉, 텍스트 등 다양한 작품을 만든다. 업사이클링 디자인 사례들을 접하면서도 철사에 대해선 한 번도 생각해보지 않았는데, 철사를 재활용한 작품은 어떤 모습일지 잘 상상이 가질 않았다. 한편으론 불편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한 해 동안 사용한 달력이나 수첩을 분리배출할 때 종이와 철사 분리가 쉽지 않았던 기억이 떠올라서였다. 늘 손도 아프고 철사의 모양도 엉망이 됐었는데 그런 철사도 사용이 가능할까 하는 의문도 들었다. 그런데 첫 번째 작품의 재료가 바로 이 달력의 철사였고, 그 작업의 시작엔 윤호섭 교수와의 만남이 있었다.

“2003년에 TV에서 윤호섭 선생님을 보고 인사동 티셔츠 퍼포먼스 현장에 그림을 받으러 갔다가 선생님 일을 안팎에서 하게 됐어요. 윤호섭 선생님께서 매년 친환경 디자인 요소를 적용한 그린캔바스 달력을 무료 배포하시는데, 작업실을 정리하다 보면 미처 배포되지 못한 해 지난 달력이 나오곤 했죠. 분리배출을 위해 달력에서 빼낸 철사의 구불구불하고 몽글몽글한 하얀 철사 덩어리의 느낌이 아까울 정도로 좋았는데, 그때만 해도 예술이나 디자인을 할 생각이 전혀 없었기 때문에 얼마간 보관하다 버리곤 했어요. 그러던 어느 날, 달력 위에 동그랗게 감긴 부분이 나뭇가지를 잡고 있는 새의 발 모양으로 연상돼, 하나만 남기고 나머지를 풀어 새 모양을 만들게 됐어요.”

 

좋아은경 작가의 첫 번째 작품 <침묵의 봄>. 버려지는 달력의 철사를 이용해 새를 만든 작품이었다.


2012년 그렇게 첫 작품이 완성된 후 윤호섭 교수의 응원에 힘입어 그가 매년 주최하는 ‘녹색여름전’에 작품을 출품하면서 레이첼 카슨이 지구 생태계 파괴에 대해 경고하는 책 [침묵의 봄]을 떠올리며 작품에 [침묵의 봄]이라는 제목을 붙였고, [침묵의 봄] 출간 50주년을 맞아 레이첼 카슨을 기리는 전시로 첫 개인전을 열었다. 버려지는 철사에 집중하던 작가는 양면 달력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 철사로 제본되던 달력에서 철사를 빼는 아이디어를 냈고, 이로 인해 윤호섭 교수의 그린캔바스 달력은 2014년부터 용수철 제본 없이 제작되는 변화를 맞기도 했다.

좋아은경 작가는 버려지는 철사만으로 작업을 하는데, 그나마 작품의 재료가 됐던 그린캔바스 달력의 철사마저도 없어졌으니 어디서 재료를 구할까, 양은 충분할까 궁금해졌다. 생활 속에서 버려지는 철사가 많지 않은 것 같아서였다. “생각보다 아주 다양하고 많아요. 처음에는 어머니의 부엌에서 구했고, 친구들이 모아주기 시작해서 친구의 가족들도 모아주세요. 일상에서 나오는 철사는 보통 먹을거리와 연관돼 있어요. 요리를 많이 하는 집에서는 시금치, 열무 등을 묶는 철사가 많이 나오는데, 김장철에는 정말 한아름 안겨주기도 하고요, 간단히 식사를 하는 학생이나 직장인 친구들은 빵 끈을 많이 모아줘요. 전자제품을 사면 전선을 묶어 놓은 철사가 나오기도 하죠. 그 외에도 건축 일을 하는 지인이 폐전기선을 모아주시기도 하고, 베이킹, 꽃꽂이 등 각종 취미 생활에서 사용되는 철사가 중도 포기로 인해 전혀 사용되지 않은 채로 제게 전해지기도 해요.”

하지만 이렇게 모인 철사들을 사용하기 위해선 철사를 철사 포장재와 분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채소를 묶는 철사에선 접착된 종이를 분리하고, 빵 끈의 철사를 얻기 위해선 겉면을 칼로 긁어낸다. 재료 손질을 위한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지만, 작가는 힘들다는 생각보다는 불필요한 배출이 없어져서 재료를 구하기 어려워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고 했다. 작업이 시작된 배경이 그랬던 것처럼 온통 환경을 생각하는 마음이다.

 

많은 사람들이 작가에게 철사를 전해준다. 그에 대한 고마움을 담아 그 모습 그대로를 전시하기도 했다.


그는 철사를 모으는 과정에서도, 전시장에서 관람객과 만날 때도 작업을 할 때처럼 많은 것을 느끼고 생각한다. “전시장, 강연, 워크숍을 통해 만난 분들이 철사를 전해주시기도 하고, 편지와 함께 배달이 되기도 해요. 여간 귀찮은 일이 아니라는 것을 잘 알기 때문에 정말 매번 감격해 눈물이 날 정도예요. 제 이름이 적힌 종이봉투 안에 들어있는 각종 철사, 나무 장작처럼 차곡차곡 쌓아 묶은 철사, 만나러 오는 길에 빵을 사 먹었다며 꼬깃꼬깃 주머니에서 나온 하나의 철사 등을 받은 모습 그대로 전시에서 선보이기도 하죠. 친구와 함께 전시장에 오신 친구 어머니께 '이 모빌은 어머니께서 챙겨주신 시금치 철사로 만들었어요' 하고 눈을 마주하며 감격하는 순간이 생기기도 하고요.”

집에서 나오는 많은 쓰레기 중에서 철사를 버릴 때만큼은 별로 죄의식을 느끼지 않았는데, 이렇게 작은 부분에까지 집중하는 한 작가로 인해 많은 것을 생각하게 됐다. 좋아은경 작가는 바로 그런 부분이 자신이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라고 했다. “잠깐이나마 환기를 시키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어요. 우리가 의식하지도 못한 채 쓰는 것들이 이렇게 다양하고 많다는 것, 철사뿐이 아니라는 것, 더 이상 버려지는 공짜 재료를 구할 수 없는 날이 와서 오히려 발을 동동 구르고 싶은 사람이 여기 있다는 것을요.”

좋아은경 작가는 자신의 첫 작품 제목을 ‘침묵의 봄’이라 이름 붙인 것처럼, 레이첼 카슨의 책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여전히 그의 책을 자주 들여다보는데 작가는 “이 메시지가 60년이 지나도록 낡지 않는다는 것과 그 경고가 유효한 것을 넘어 어느 때보다 시급하다는 사실이 슬프게 느껴진다”고 했다.

 

 

최근 <아무튼, 산>의 2쇄를 기념해 한정으로 선보인 '침묵의 봄 책갈피'. 철사로 만든 두 마리의 새와 레이첼 카슨의 얼굴이 담긴 내지로 구성된다. 작가는 레이첼 카슨의 얼굴을 그려 넣고 '자연을 이루는 모든 것은 홀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레이첼 카슨의 글을 넣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마음을 담은 작가의 작품이 [아무튼, 산]이라는 책을 위한 이벤트를 통해 더 널리 알려지기도 했다. 심플한 새 모양과 산뜻한 컬러가 잘 어우러진 ‘침묵의 봄 책갈피’는 의미도 좋지만 그 자체만으로도 예뻐서 SNS에서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았다. “LAN 선으로 만들었어요. 수집되는 철사 중에서 색상이 화려해서 작품에 쓸 엄두를 못 내고 있었는데, 구리선 위에 코팅이 돼 있어서 안전하겠다 싶어 워크숍 때 활용하기 시작했죠 익숙해지고 나서는 고마운 분들에게 레이첼 카슨의 메시지를 담아 선물하고 싶다는 생각에 '침묵의 봄 책갈피'를 만들기 시작했어요.”

사실 이 책갈피는 이미 예전에 디자인됐고, 주변에 나누고 싶어 하는 이들이 있어 소량 제작해 동네 책방 등에서 판매하기도 했는데, 어느 날 제작을 중단했다고 한다. “저는 쓰레기를 그다지 배출하지 않는 삶을 사는데, 제가 만들어 내는 것 중에 비닐이 있다는 것이 멋쩍어서 2년 정도 제작을 중단한 상태였어요. 물론 남은 비닐포장봉투를 버리지는 않았고 꼭 필요한 순간에 쓰기로 하고 넣어두었죠. 그러다 제 소중한 벗이 책을 냈는데, 2쇄를 찍게 돼 이벤트를 열고 싶다고 했어요. 여러 브랜드에서 컬래버 제의가 들어온 상태였는데 상업적인 느낌에 주저하고 있다가 문득 제 생각이 났나 봐요. 우리의 우정처럼, 우리가 낳은 것이 잘 어울린다는 것이 얼마나 기쁜 일인지요. 오직 기쁜 마음으로 총 20세트를 만들어 전했습니다.”

작가는 현재 ‘나무를 읽는 목요일’이라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매주 목요일 SNS에 나무에 관련된 글을 철사로 필사해 올리는 작업인데, 벌써 시작한지 세 달이 됐다. 계기는 2018년 폭염과 올해 전 세계를 덮친 코로나19였다. “대구에 살던 오빠가 서울에 올라와 너무 덥다고 해서 의아했는데, 알고 보니 대구가 폭염도시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쳐왔고, 1996년부터는 적극적으로 도심 내외에 나무를 심어 그로 인한 효과가 발휘되는 모양이었어요. 여러 책과 자료를 접하던 중, 나오미 클라인의 기후위기에 대한 책에서 인용된 아룬다티 로이의 글을 보게 됐는데, '희망은... 숲과 산과 강이 자신들을 보호한다는 사실을 깨닫고 일상적인 투쟁에 나선 사람들의 어깨동무 안에서 자라난다'는 문장이었어요. 숲을 보호하고 지구를 지켜야 한다고 말을 해왔지만, 사실은 숲이 나를 보호하고 지구가 나를 살게 한다는 것이었는데요, 그걸 깨닫고 한참을 멍하니 지냈어요. 그러다 코로나19로 외부 일정이 모두 중단된 어느 날, 이 작업을 시작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나무를 읽는 목요일' 메이킹 영상 중에서.&nbsp;32시간에 걸쳐 레이첼 카슨의 글을 철사로 옮기는 과정을 타임랩스로 찍어&nbsp;독일&nbsp;친구에게 낭독을 부탁해 비디오로 제작하기도 하고, 존 버거의 시 중 &lsquo;꽃가루 한 점은 산맥보다 더 오래되었고&rsquo;라는 문장이나 아메리카 원주민의 어록을 옮기며 맞닿아 있다고 여겨지는 글들을 함께 업로드하기도 한다.

 

'나무를 읽는 목요일_ a Heaven in a Wild Flower'. 한 알의 모래 속에서 세계를 보며 / 한 송이 들꽃에서 천국을 본다 / 그대 손바닥 안에 무한을 쥐고 / 한 순간 속에 영원을 보라 (윌리엄 블레이크, <순수의 전조>, 민음사, 김종철 역)

 

'나무를 읽는 목요일_ when the last tree has been cut down'.&nbsp;마지막 나무가 베어졌을 때 / 마지막 물고기가 잡혔을 때 / 마지막 강이 더럽혀졌을 때 / 그제야 우리는 돈을 먹고 살 수 없다는 것을 깨달을 것인가 (아메리칸 원주민 속담)


자연의 아름다움을 찬양하거나 자연파괴를 비난하는 내용과 다르게 나무에 대한 글귀를 찾는 데엔 많은 시간이 걸리지만, 철사로 단어 하나하나를 옮기며 내용을 곱씹는 작가는 곁에 두고 음미할 수 있는 문장을 찾아 더 많은 이들과 나누기 위해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작가는 달력을 분리배출할 때 철사를 빼기가 힘들다는 에디터에게 한 가지 팁을 전해주었는데, 바로 롱노우즈 플라이어(이름은 거창하지만 집에 하나씩은 다 있는 펜치나 니퍼다)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달력 용수철 끝부분을 잡고 쭉 당기면 드르륵 소리가 나면서 쉽게 분리가 되고, 이 작업을 반복하면 마음까지 비워지는 것 같은 기분을 느낄 수 있을 거라 했다. 모두 꼭 시도해보길 바란다면서.

좋아은경 작가의 작업도 바로 이런 게 아닐까. 작은 관심과 주의로부터 작업이 시작된 것처럼 우리에게도 조금씩 변화를 시도해보게 하는 것, 그렇게 서서히 진짜 중요한 것을 찾고, 행동으로 실천하게 하는 것 말이다. 적어도 그의 작품을 한번이라도 접한 이들은 철사를, 그리고 우리의 일상을 다시 보게 될 테니까.


티스토리 뷰

works

나무 읽는 목요일 /2주년

좋아은경 2022. 5. 21. 02:09

▲ nothing exists alone(나무읽는목요일), 좋아은경, 2022, 폐철사


자연에서 그 어떤 것도 홀로 존재하지 않는다.
레이첼 카슨, 침묵의 봄, 1962

In nature, nothing exists alone.
Rachel Carson, Silent Spring, 1962


목요일마다 나무문장 읽기. 100번째 나무 읽는 목요일의 문장은 올해 출간 60주년을 맞는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에서 골랐습니다.

2020년 5월 21일 목요일 시작한 철사 필사 프로젝트 #나무읽는목요일. 어느덧 오늘 2주년을 맞습니다.

100번의 목요일 기록을 홈페이지에 정리했습니다.
http://yoaek.com/treesthursdays.html

목요일의 일과, 잠시 멈춰 그동안 철사로 옮겨쓴 나무 문장들 차분히 정리하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이어질 목요일에 함께 읽을 나무 문장 계속 나누어주세요.

 

보내주신 관심과 성원에 깊이 감사드립니다. 


티스토리 뷰

works

<여기, ___나무> 시리즈

좋아은경 2021. 8. 24. 15:35

2018년 폭염을 통해 비로소 기후위기를 실감했고,

여러 자료를 살펴보며 나무와 숲이 우리를 보호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이에 2018년 개인전 <Trees Protect (       )>와 2019년 단체전 <내일을 위한 매일>을 기획했습니다.

 

2020년 5월, '나무' 글귀를 철사로 옮겨 매주 목요일마다 공개하는 #나무읽는목요일을 시작했습니다.

나무(에 대한 글귀)를 찾으며 꽤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지만 정작 나무에 대해 아는 것이 너무 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나무를 만나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내 주변의 가까운 나무부터 찾아보기로 했습니다.

 

산림청의 조사에 따르면 2020년말 기준 우리나라 가로수로 왕벚나무 및 벚나무, 은행나무, 이팝나무, 느티나무, 무궁화, 배롱나무, 양버즘나무, 단풍나무, 메타세콰이어, 곰솔, 중국단풍, 백합나무, 기타 순으로 식재되어 있습니다. (출처: 산림청 '도시숲을 이어주는 가로수·가로숲')

 

흔하고 익숙한 도심 속 나무를 찾아 기록하는 <여기, __나무>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경이로움을 느낍니다. 전혀 새로운 듯 아름다움을 느낍니다. 일상을 더 기쁘게 바라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2021년에 만난 나무 4종을 소개합니다.

<여기, 단풍나무>, 좋아은경​

 

<여기, 메타세콰이어>, 좋아은경​

 

<여기, 은행나무>, 좋아은경​

 

<여기, 이팝나무>, 좋아은경​


티스토리 뷰

예술인들이 예술 외적인 요인으로 예술 활동을 중단하지 않도록 필요한 지원을 하여 예술 활동을 지속할 수 있게 하는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창작준비금지원사업- 창작디딤돌>에 2020년 선정되었던 사연으로 인터뷰를 가졌습니다.

일부 아래 옮깁니다.
전문은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온라인 뉴스레터 <사람 人> 6월호(링크)에서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꾸준히 해온 작업을 격려 받은 기분이었어요!
-철사 아티스트 좋아은경

좋아은경 작가는 버려진 철사로 작품을 만든다. 어떤 물건을 굳이 써야 한다면 가장 사용을 최소화하고 무분별하게 낭비되지 않아야 한다는 마음을 담아 만든다. 동시에 이 과정에서 알게 된 '손을 쓰는 즐거움'을 사람들과 나누는 워크숍과 강의도 지속하고 있다. 이렇게 8년을 작업해온 그는 지난해 받은 창작준비금이 "앞으로도 계속하라"는 큰 격려처럼 느껴졌다고 한다.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일상에서 쓸모가 다해 버려진 철사로 작업을 하고 사람들과 함께 공유하고 싶은 글귀를 필사해 텍스트를 만드는 좋아은경입니다. 폐기된 달력 철사로 새를 만든 <침묵의 봄>이 저의 첫 작품이었어요.

왜 철사를 작업 소재로 택하게 되었나요?
제가 고등학생 때였던 2003년, TV에서 환경을 이야기하는 윤호섭 선생님을 보고 당시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열렸던 <물 전>에 전시된 선생님 작품을 보러 갔어요. 그러다가 매주 일요일 인사동에서 환경 퍼포먼스를 하시기에 현장에서 자연스럽게 선생님 일을 돕기 시작했고요. 그때 저는 사회에 나가 자율적이고 주체적으로 다양한 경험을 하고 공부하고 싶어서 고등학교 1학년 때 학교를 그만두었던 때라 자유시간이 많았거든요(웃음). 대학교에 가서도 선생님 일을 계속 도왔는데, 그때 제가 하던 일 중 하나가 폐기된 달력의 철사를 분리 배출하는 거였어요. 분리된 달력 철사를 보니 몽글몽글한 게 예쁘더라고요. 달력 위에 동그랗게 감긴 부분을 새의 발 모양으로 만들고 나머지 부분을 풀어서 새를 만들었죠. 그걸 보신 선생님이 “굉장한 작품”이라고 말씀해주셨어요. 이걸로 많은 이야기를 할 수 있겠다는 선생님 말씀에 힘입어 어쩌다 보니 계속 작업을 하게 되었죠. <침묵의 봄>은 2013년에 연 첫 개인전 ‘레이첼 카슨에게 보내는 편지’에서도 선보였습니다.

우연한 기회에 철사 아티스트의 길을 걷게 되신 거네요.
저는 예술이나 디자인을 할 생각이 전혀 없었어요. 대학교 전공도 사회과학이었고요. 우연히 예술가의 길을 걷게 된 거죠. 저는 이 작업을 통해 제 나름대로 사회과학을 하고 있다고 생각해요. 제가 느끼는 사회문제를 고민하고 공부해서 알게 된 이야기와 해결방법을 사람들에게 제안하고 전달하고 있으니까요. 저는 제 작업을 통해 사회불평등, 기후위기, 자연의 소중함, 재료의 선택, 최소화의 중요성 등을 알리고 싶어요.

첫 전시 이후 ‘균형’, ‘손’ 시리즈 등 다양한 작업을 하셨잖아요. 이런 작업을 통해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는 무엇인가요?
저의 첫 작업물에 붙인 <침묵의 봄>은 레이첼 카슨이 1962년에 펴낸 환경과학책 제목이기도 해요. 무분별하게 사용된 유독성 화학물질이 지구 생태계를 파괴한다는 경고를 담고 있죠. 2013년 첫 전시를 열며, '레이첼 카슨에게 보낸 편지'라고 전시 제목을 붙인 것도, 마침 그 해가 책이 출간된 지 50주년이기도 해서 그 의미를 기리고 싶었어요. 오래 전에 나온 책이지만, 지금 읽어도 그 메시지는 낡게 느껴지지 않아요. 단순히 '화학제품을 쓰지 말자'가 아니라 무엇을 시도할 때 충분히 고려해보고, 이 방법이 최선인지 생각하고 자연의 균형을 파괴하지 않으려는 방법을 선택하고 행동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거든요. 미세먼지, 코로나19, 기후위기 등 지금 상황에 대입해도 여전히 유효한 말이기 때문에 이 메시지를 후대에도 계속 전달하는 일을 중단할 수가 없는 거죠.

작업은 어떻게 하시나요? 그 과정이 궁금합니다.
빵 봉지의 꼬인 철사, 열무나 시금치 단을 묶은 철사 등 다양한 재료를 써요. 포장 종이를 벗기고 녹슨 부분을 닦아내는 등 손질하는 시간이 작업시간보다 더 오래 걸려요. 작업 자체는 정말 재밌어요. 제가 제일 좋아하는 일이자 특기, 취미거든요. 그래서 작업시간도 대중없어요. 작업이 잘 풀린다 싶을 때는 밥도 안 먹고 하루 종일 작업하기도 해요. 도구는 플라이어(펜치)와 제 손이 전부예요. 일상의 재료로, 밥 먹고 얻은 힘으로 만들고 있습니다(웃음).

전시로 소통하고, 철사로 새 만들기 워크숍도 자주 열었던 만큼 코로나19로 거리두기를 해야 하는 상황이 힘들었을 것 같아요.
코로나19로 사람들과 만날 기회가 점점 줄어들면서 생각이 많아졌어요. 이 상황이 장기전이 될 것 같은데 가만히 있을 수는 없겠다고 생각해서 2020년 5월 21일 목요일에 '나무 읽는 목요일' 프로젝트를 시작했어요. '나무 읽는 목요일'은 철사를 구부려서 글씨처럼 만들고 그걸 사진을 찍어 매주 목요일마다 SNS에 올리는 작업이에요. 숲과 강과 나무가 없다면 우리는 존재할 수 없고 나무와 나는 끊어질 수 없는 관계라는 걸 텍스트로 전달하는 작업이죠. 2018년 폭염을 겪으며 나무에 대한 중요성을 이야기했던 저의 전시와 맥락이 이어지는 작업이기도 하고요. 관련 글귀와 자료를 찾는 일이 정말 어려워요. 그래서 일주일이 정말 빨리 가요. 최근 1주년이 되었고, 지금도 계속 하고 있어요. 100주는 해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웃음).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제가 가장 바라는 건 버려진 철사가 없어서 '재료를 사야 하나' 고민하는 상황이 오는 거예요. "빵, 배추, 시금치를 묶는 '철사'라는 것이 있었단다"라고 다음 세대에게 이야기해주는 날이 오는 것이 꿈이에요. 또 하나는 사람들이 손의 가치를 다시 생각해보는 일입니다. 옛날에는 두 손으로 직접 집도 짓고 옷도 만들고 생활을 했었는데 지금은 돈을 써서 위탁을 주거나 돈으로 필요한 물건을 사서 쓰고 버리는 게 일상이 됐잖아요. 우리가 가진 두 손에 좀 더 의존해보자고 말하고 싶어요. 제가 워크숍을 하는 것도 이런 손을 쓰는 즐거움을 알리고 싶어서거든요. 손을 움직이면 누구나 예술작품을 만들 수 있어요. 그 소소한 경험을 통해 손의 가치를 다시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티스토리 뷰

works

나무 읽는 목요일 /1주년

좋아은경 2021. 5. 22. 13:45

목요일마다 나무 문장 읽기. #나무읽는목요일 #TreesThursdays은 매주 목요일마다 나무에 관련된 글귀를 철사로 옮겨써 제 페이스북 계정에 업로드하는 철사 필사 프로젝트입니다.

 

2020년 5월 21일 목요일에 시작했습니다. 어느새 1년지나 53번째 목요일 맞습니다.
그동안 철사로 옮긴 나무요일의 문장들, 한참을 읽을 수 있을 만큼 두툼하게 모였습니다.

마음에 꼭 드는 글귀를 찾는 일에 시간을 가장 많이 들입니다.
필사를 하고, 내용이 잘 전달되길 바라며 사진을 찍습니다.

와, 벌써 목요일이야, 라고 매번 말합니다. (아니, 왜 벌써 목요일이지?)

목요일은 너무도 금방 찾아온다는 작은 투정에 웃으며 격려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언제든 중단해도 되는, 스스로 정한 약속. 사실 나누는 기쁨이 더 큽니다.

목요일마다 게시글보러 페이스북에 들어온다는 말, 목요일은 바쁘지 않냐며 다른 날 만나자는 배려, 나무글귀 찾으러 서점, 도서관... 어디든 함께 가주는 여러분 덕분에 일 년 잘 보냈습니다.


그동안 날씨와 계절의 변화에 한층 민감해졌습니다.

봄꽃을 보며 "꽃잎이 떨어지네, 다시 올라가네, 아, 나비였네.(모리타케)"
신록의 나뭇가지를 보며 "산들바람을 붙잡으려고 막 돋아난 나뭇가지들이 부챗살을 펼쳤다.(워즈워스)"
밤새 부쩍 자란 창문텃밭의 상추에 절로 감탄하며 "숲과 들판과 곡식이 자라나는 밤을 나는 믿는다.(소로우)"

음유시인 마냥 읊조립니다.
눈으로 보고 입으로 읽고 손가락으로 어루만져 스며든 문장들입니다.

"나무가 얼마나 크게 자랄까요? 나무를 베면 알 수가 없죠.(바람의 빛깔-포카혼타스 ost)"
"우리가 가졌던 것이 무엇인지 몰라. 사라지기 전까지 말이야.(조니 미첼-Big Yellow Taxi)"
작업실 창밖으로 보였던 유일한 나무가 베어 없어지고 나서야 소중함을 깨닫기도 했습니다.


올 여름도 무척 더울 것 같습니다. 폭우가 쏟아질까요?

무더위가 대단했던 지난 2018년, "희망은 ... 숲과 산과 강이 자신들을 보호한다는 사실을 깨닫고 일상적인 투쟁에 나선 사람들의 어깨동무 안에서 자라난다"는 아룬다티 로이의 글을 읽었습니다.
그제야 나무, 숲과 지구가 나를 지켜주고 있구나, 생각했어요. 철사로 옮겨 적고 전시를 열었습니다.

얼마쯤 시간이 흐른 뒤에 시작한 나무읽는목요일.
씨앗, 뿌리, 가지, 잎, 꽃, 열매, 숲, 식물, 나무 글귀에 집중하고 있으나 일주일의 모든 요소(달, 불, 물, 쇠, 흙, 해)가 언제나 함께하고 있음을 어렴풋이 알게 되었습니다.

언제든 글귀 나누어주세요.
고맙습니다!


I started the TreesThursday project a year ago on Thursday, May 21, 2020. Today is the 53rd Thursday.
In the meantime, the wire transcriptions of tree/plant/forest piled up like a thick book.
Thank you all for your encouragement!

▲ TreesThursdays, 좋아은경, 2021, 폐철사(버려진 철사를 목요일 아침에 수집해 만들었다)




티스토리 뷰

#나무읽는목요일 #treesthursdays


산들바람을 붙잡으려고
막 돋아난 나뭇가지들이 부챗살을 펼쳤다.
아무리 생각해봐도
거기 즐거움이 있는 게 틀림없다.

윌리엄 워즈워스(1770-1850)

The budding twigs spread out their fan,
To catch the breezy air;
And I must think, do all I can,
That there was pleasure there.

William Wordsworth
from "Lines Written in Early Spring"


좋아은경, 산들바람을 붙잡으려고, 2021, 폐철사

티스토리 뷰

은덕문화원의 대문이 활짝 열리는 아침 11시, 그전에 도착해 가장 먼저 하는 일은 밤 사이 안 쪽에 들여놓았던 작품을 다시 정원에 내놓는 일이었습니다.

 

▲'푸에블로 축복' 작품과 설명문

 

 

매일매일 궁리하며 다른 곳에 작품을 놓았습니다. 하루 중에도 해의 움직임을 따라 위치를 바꾸기도 했습니다.

 

철사 필사가 모두 영문이기에 한글 번역문이 담긴 설명문이 잘 보이는 것도 중요했습니다.

설명문만 보아도 충분히 좋았으면 하는 마음이었어요. 작품 근처, 햇볕이 잘 드는 곳에 올려두었습니다.

 

▲'한 알의 씨앗(in a seed)' 작품과 설명문

 

▲'숲에 하고 있는 일' 작품과 설명문

 

포카혼타스 OST 바람의 빛깔(Colors of The Wind)의 가사, '얼마나 크게 될지 나무를 베면 알 수가 없죠'를 철사로 옮긴 작품은, 정원에서 가장 키가 큰 나무 아래 두었답니다.

 

▲'나무를 베면 알 수가 없죠' 작품과 설명문

꽃 한 번, 작품 한 번, 나무 한 번, 글귀 한 번.

평소에도 아름다웠던 꽃과 나무이지만 작품 글귀와 함께 보고 나니 새롭게, 특별하게 느껴진다는 말씀이 참 감사했습니다. 저와 이야기 나누고 볕이 잘 드는 툇마루에 앉아 한참 머물다 가시기도 했습니다.

 

전시기간 동안 빠짐없이 전시공간에 나갔습니다. 꿈결 같은 시간이었습니다.

 

올 한해 홀로 작업했던 #나무읽는목요일. 한껏 무르익은 꽃과 나무에 둘러싸여 나눌 수 있어 정말 좋았습니다. 가을 햇살도 공기도, 참 따스했습니다.

 

(거리두기 단계 발표를 기다리느라) 고작 전시오픈 이틀을 앞두고 드린 한참 늦은 알림, 일주일로 축소된 짧은 기간에도 찾아주시고 또 격려의 메시지 보내주신 모든 분께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숲이 있는 작은 방
좋아은경

2020년 10월 13일(화) - 20일(화)
은덕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