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현대제철 사외보 푸른 연금술사 2020년 09+10월호에 소개되었습니다.

일부 아래에 옮깁니다. 


 

아름다운 별 지구를 사랑하는 푸른 연금술사 2020 09+10

그 사람의 작업실 - 좋아은경 작가
버려진 철사로 쓴 균형과 공존의 메시지
글 우승연 사진 김영준

 자기만의 시선으로 세계 바라보기
 "류시화 시인이 인도 여행할 때 만난 구루가 그를 부를 때마다 꽃목걸이를 걸어주며 '예스시화'라고 부른 것처럼 사람들이 나를 긍정적으로 불러줬으면 좋겠다 싶었죠. '예스'를 한글로 바꾸는 과정에서 '좋아'가 떠올랐고 부모는 물론 지인들에게 '좋아'라고 불러 달라 말했어요."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사유하고 발화하는 힘. 그것은 자신을 객관적으로 조망하고 한 발짝 더 나아가려는 노력과 맞물려 좋아은경을 와이어 아티스트로 이끌었다. 궁금하면 들여다보고 행동이 필요할 땐 멈칫거리지 않았다. 

 

 

 낡은 철사가 건네는 따뜻한 위로
 "힐링된다, 그 말을 많이 하시더라고요. 문득 이 시대 미술관, 전시회에서 채워주지 않는, 현대미술과 닿지 못하는 부분을 내가 약간 채웠나, 닿았나, 그런 생각이 들었어요. 가장 좋은 건 사람들이 와서 만만하게 생각하는 거였고요. 나도 이렇게 생각할 수 있는데 왜 못했지, 같은 자각이요. 그렇게 사람들과 환경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이야기할 수 있어서 좋았죠."
 생판 모르는 사람과 깊은 이야기를 나누면서 예술이 심미적인 만족을 주거나 개인의 철학적인 고민으로 끝나는 게 아님을 깨달았다. 하고 싶은 무거운 이야기를 부담스럽지 않게 나누도록 이끄는 매개체라는 것도 알아차렸다. 환경위기를 이야기하는 작업을 지속하기로 결심한 순간이기도 했다. 이후 레이첼 카슨의 "적절한 균형 상태에 이르렀다"는 말에 영감을 받아 모빌을 떠올렸고 '균형 시리즈'를 만들기 시작했다. 


 "제목은 균형 시리즈인데 다 불균형한 작품이에요. 예를 들어서 한 사람이 여러 사람보다 무거운 거죠. 전시장에 나가 있으면 사람들이 물어봐요. 왜 한 사람이 무거운지. 그럼 제가 왜 그런 것 같으냐 되묻죠."


 백 사람의 백 가지 이야기가 발화되고 저마다의 사유가 부유하며 입장이 교차했다. 그 낱낱이 축적되고 누적돼 발효하는 순간 예상하지 못한 시너지가 발생했다. 한국의 텃새를 관찰하고 그런 후 낡은 철사로 본 떠 만든 참여자 워크숍 프로그램 또한 만만치 않은 감흥이었다. 살아 있는 새와 교감한 듯한 참여자들의 설렘이 생의 기운처럼 서로를 지켜냈다. 그런가 하면 환경 메시지와 더불어 휴대폰을 쥐거나 돈을 쓰는 것밖에 못하는 손을 재구성하기도 했다. 2014년 유럽을 여행할 때 일어난 세월호 참사를, 그야말로 멀리서 지켜보며 느꼈던 '손 쓸 수 없다'는 감정에 기인한 손 작업과도 닿았다. 무력해지고 그저 상징이 된 손이 경험한 과거와 경험하는 지금 여기를 통해 수많은 이들의 치유를 목도했다.


버려진 철사로 시작된 좋아은경의 작업은 인간을 포함한 자연에게 말을 거는 행위였다. 쓰레기 없는 여행 '형편없는 살림꾼 프로젝트', 매주 목요일마다 나무에 관한 글귀를 철사로 필사해 SNS에 업로드하는 '나무 읽는 목요일' 모두 나지막이 흘러드는 이야기를 듣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고민하는 좋아은경만의 실천이었다. 어쩌면 코로나19 시절 고립될 수밖에 없는 개체에게 전하는 따듯하고 실제적인 위로일 것이다.


"앞으로도 계속 버려진 철사로 작업을 할거예요. 바라는 거요? 글쎄요. 저는 사람들이 직접 검색을 많이 했으면 좋겠어요. 관심 갖는 분야를 하나씩은 품었으면 하고요. 그러다 보면 주위 사람들, 세계도 관찰하게 되겠죠. 사소한 배려, 1분으로 세상을 바꿀 수도 있다는 걸 여러 사람들이 경험하길 바라요."

 

20200910.pdf
9.24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