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whenever wherever workshop at Prachinburi, Thailand 태국 /making bird with LANwire /좋아은경
좋아은경 2019. 1. 2. 20:30wires everywhere! + 언제 어디서나 워크숍 whenever wherever workshop!
태국의 아버지께서 창고에서 철사와 도구(플라이어)를 찾아주셨어요. 각자 휴대폰을 꺼내 검색 사이트에서 태국의 텃새를 골랐습니다.
두껍고 물성이 강한 철사 뿐이라 다들 애를 먹었는데요, 모두 손바닥이 빨개지는 것도 모르고 집중해 만들었어요. 완성된 열대의 새들은 반지, 책갈피, 정원의 장식 등이 되었습니다.
티스토리 뷰
whenever wherever workshop at Suwon, KR /making bird with LANwire
좋아은경 2017. 12. 3. 23:11어색했던 우리 사이 이토록 가깝게 하는
언제 어디서나 whenever wherever workshop!
티스토리 뷰
✔ 포크라노스 New release 🎤 이한철 / 라고 말하고 싶어 계절프로젝트를 마친 이한철의 2017년 싱글 연작시리즈의 첫 노래! 누군가에게 건네고 싶은 마음의 두근거림을 담은 이한철의 고백주저송 ‘라고 말하고 싶어’가 발매되었습니다. 여름과 가을이 만나는 지점의 따스하면서도 선선한 사랑 노래. 가을이 막 다가온 오늘 날씨엔 이 노래 어떤까요? 멜론 ▶ http://bit.ly/2wHFTir 네이버뮤직 ▶ http://bit.ly/2wRy5et 지니 ▶ http://bit.ly/2gp5lD6 M-net ▶ http://bit.ly/2x2EjYk 벅스 ▶ http://bit.ly/2vIn8qE
게시: 포크라노스 - POCLANOS 2017년 8월 29일 화요일
철사로 손만들기 워크숍 결과물이 앨범 커버로!
지난 2017 피스앤그린보트 선내 복도에서 이한철 밴드와 언제 어디서나 whenever wherever workshop을 함께했어요. 가던 걸음 멈추고 흔쾌히 참여해주셔서 매우 신났던 기억이 납니다.
사랑을 말하는 손. 남은 철사로 이름까지 만들어 더해졌어요. 피스보트의 강렬한 빨간 카펫을 배경 삼아 사진을 찍으셨는데, 새 싱글 커버로 재탄생 했습니다. '목이 간질간질 참을 수 없어' 무척이나 흐믓한 마음으로 소개합니다.
티스토리 뷰
공식적으로 진행한 3번의 선내 워크숍 외에도 피스앤그린보트 갑판, 복도, 객실 곳곳에서 만난 분들과 whenever wherever workshop 시간을 가졌습니다.
언제나 의젓하고 귀여운 모습으로 인사를 건네준 우리 모두의 마스코트. 마법소년의 특별한 손-나무-브로콜리를 소개합니다. 기항지 사카이미나토에서 점식식사 후 주어진 약간의 자유시간 동안 만들었답니다.
피스&그린보트 2016 <하나뿐인 지구, 하나뿐인 나를 위한 항해>
https://www.greenboat.org/pngb/
Peace & Green Boat 2017 Asian Regional Voyage
http://peaceboat.org/english/?page=view&nr=125&type=4&menu=64
티스토리 뷰
whenever wherever workshop at Seoul, KR /making bird with electric wire
좋아은경 2017. 4. 18. 14:47티스토리 뷰
whenever wherever workshop at Bangkok, Thailand 태국 /making bird with LANwire
좋아은경 2017. 4. 11. 12:36작은 미소를 띄우고
작은 눈길을 보내고
작은 인사를 건네었을 뿐인데
이토록 빛나는 순간을 돌려받았습니다.
왜 다른 여자애들처럼 평범한 사무직을 원하지 않느냐고 대성통곡하는 어머니를 뒤로하고 해병대에 지원해 바다를 누볐다는 그.
우연히 옆자리에 앉았던 우리는 이내 쉬지 않고 이야기를 이어갔어요.
서로에게 귀기울 일 수 있다면 우리가, 우리가 살아온 삶이 얼마나 다른지는 문제되지 않겠지요. 우리는 지금, 이 곳에서 만났으니까요.
"한 번 만들어 보시겠어요?"
작업이 정말 멋지다고 말해주는 그에게 슬그머니 철사를 건네었고
"내가 새를 만들다니. 그것도 철사로...!"
손재주가 정말 없다고 강조하던 그는 난생 처음있는 일이 감격스럽다며 눈가를 적십니다.
긴 포옹.
느린 미소.
꼬옥 맞잡은 두 손.
"정말 사랑스러운 곳이지요?"
- TAG
- essay, make-birds, whenever-wherever-workshop, workshop, WWW, 워크숍, 태국
티스토리 뷰
생각의 여지와 마음의 깊이를 만들어 주는 자연을 닮은 잡지, 해피투데이 2017년 2월호 (Vol.78)에 인터뷰가 실렸습니다.
제목처럼 실로 따뜻한 인터뷰, 감사한 마음으로 일부 옮깁니다.
월간 해피투데이 2017년 2월호 <따뜻한 인터뷰>
녹슨 철사로 생명의 존엄을 일깨우는 사람 철사 아티스트 김은경
인터뷰 김미경
사진 장은주
1962년 출판된 <침묵의 봄>은 20세기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 환경고전이다. 미국의 해양생물학자이자 작가인 레이첼 카슨은 누구도 환경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던 시절, 이 책을 통해 DDT 등 유독성화학물질의 무분별한 사용에 의한 지구생태계 파괴를 경고했다.
작년 여름, 나는 '아시아의 평화와 환경을 위한 항해'라는 기치를 내걸고 동아시아의 바다와 기항지를 누비는 피스앤그린보트에서 레이첼 카슨의 메시지를 전하는 이를 만났다. 그녀는 아이들과 함께 철사를 구부려 작은 새 모양의 반지를 만드는 수업을 하면서 이런 이야기를 했다. "땅이 오염되면 땅에 살고 있는 지렇이도 오염되고, 그 지렇이를 먹는 새도 오염돼서 죽게 돼요. 봄이 와도 소란스러운 새의 지저귐을 들을 수 없어요." 그녀의 이야기를 들으며 아이들이 삐뚤빼뚤하게 완성한 흰배지빠귀와 주홍울새와 동고비는 환경보전의 가치를 담은 뜻깊은 작품이 되었다. ... 한 올의 얇은 철사를 통해 레이첼 카슨의 거대하고 묵직한 메시지를 전하던 그녀가 배에서 내린 뒤에도 종종 생각났다. 철사 아티스트라는 독자적인 타이틀을 달고 여전히 세계를 종횡무진 누비고 있는 그녀에게 나는 만남을 청했고, 스리랑카에서 갓 돌아왔다는 그이를 서울현대미술관 앞에서 만났다. 자신이 만든 작품을 손에 꼭 쥐고서 뚜벅뚜벅 걸어온 그녀는 내가 예상했던 것보다 더욱 깊고 아름다운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철사로 작은 새를 만드는 선내 프로그램이 꼬마들은 물론이고 어른들한테도 인기가 많았잖아요.
선내에서 예정된 세 번의 워크샵 외에도 갑판, 복도, 방에서 게릴라 워크샵을 열었어요. 만드는 기쁨이란 게 되게 좋은 거잖아요. 사람을 집중하게 만들기도 하구요. 만들어낸 것이 쓸모가 있든 없든 일단 과정이 재밌고, 자기 안의 불꽃으 피워주는 작업이라고 생각해요.
특별히 기억에 남는 반응이 있어요?
정말 많아요. 워크샵을 할 때 마다 인상 깊었던 반응이 한 팀에 한 명 이상은 꼭 나와요. 저를 불러주는 곳에서 정식 워크샵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것 외에도 'WWW(Whenever Wherever Workshop)' 또는 '언제 어디서나 워크샵'이라고 제가 이름 붙인 게릴라 수업을 수시로 열거든요. 보시다시피 지금도 이렇게, 그리고 항상 철사와 니퍼를 가지고 다니고 있어요. 다양한 새 사진을 보여준 후에 마음에 드는 새를 하나 골라서 여러 번 따라 그리고, 그게 손에 익으면 철사로 자기가 그린 새 그림을 형상화하면 돼요. 아이들은 되레 자신감 있게 하는데, 어른들은 처음에 좀 겁을 내요. '에이 난 구경만 할게요', '그림 배운 적이 없어서 못해' 하시면서요. 저는 '각자가 고른 새가 다르기 때문에 새 모양이 다 달라도 이상한 게 아니다. 날 위해서 만드는 거니 그저 내 눈에 보이는 대로 그리면 된다'고 얘기해요. 그렇게 만들기를 시작하고 나면 '못한다'고 하시던 할머니도 즐거워하시고 나중에 손자들 보여주겠다고 성경책 이런 데 곱게 끼워서 가져가세요. 그런 모습들을 보면 뿌듯하죠.
<침묵의 봄>은 언제 처음 읽었어요?
고등학교 그만두고 좋은 책과 고전들을 찾아서 읽기 시작했는데 그 무렵이었던 걸로 기억해요. 앞부분이 좀 어렵긴 한데 4장 이후부터 강이나 땅, 새에 관한 내용이 나오면서 굉장히 재밌어요. 레이첼 카슨 평전도 감명 깊게 읽었구요. 여성 인권이 매우 낮았던 시기에 이례적으로 고위 공무원직에 오른 사람이었고, 오빠의 처자식까지 다 먹여 살려야 하는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밤마다 글을 써서 전업 작가가 되었다는 게 존경스러워요. 그녀는 암 진단을 받고서도 장장 5년에 걸쳐 <침묵의 봄>을 집필했어요. 본인이 쓰고 싶어 했던 바다에 대한 책 대신 굉장한 문제작이 될 것이 뻔했던 <침묵의 봄>을 써서 죽기 전까지 대중과 언론과 과학자 집단과 화학업계와 맞서 싸워야 했어요. 카슨은 "<침묵의 봄>을 쓰지 않을 수 없다고", "그것은 마치 에이브러햄 링컨이 '저항해야 할 때 침묵하는 것은 비겁하다'고 외쳤을 때와 같은 의무감에서 비롯되었고"고 말했어요. 가시밭길이 될 줄 알면서도 그 길을 갔다는 게 굉장히 놀라워요.
앞으로 전개될 작품에 있어서 풀어나가고 싶은 키워드나 테마 같은 게 있나요?
제가 카슨에게 읽어냈던 건 '균형'과 '공존'의 테마였고, 앞으로도 그 주제에 집중하려고 해요. 제 작품 중 '산양이 사는 나라(Where the Wild Goats Are)'라는 게 있어요. 레이첼 카슨이 말한, 사람이 생태계의 균형을 깨면서 사라지게 될 생명체들 중 하나가 우리나라의 경우엔 산양이라고 저는 생각했거든요. 이 작품은 (설악산) 케이블카 사업으로 위기에 놓인 산양들을 표현한 것이기도 하면서 동시에 굉장히 비민주적인 절차로 이런 것들을 후다닥 치러버리려고 하는 행태에 대한 비판이기도 해요. 포괄적으로 얘기하자면 '비민주적인 방식에 의해 깨지는 것들'이 제가 다루고 싶은 주제인 거죠. 제가 '손'을 강조하는 작품들도 많이 만드는데, '오늘 내 손으로 무얼 했나' 돌아보는 것이 곧 나의 하루를 돌아 볼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하거든요. 우리 손으로 이뤄낸 게 되게 많잖아요. 그렇게 자기 손의 가치를 돌이켜보고, 이 손으로 무엇을 할지, 앞으로 어떻게 쓸지, 크고 어려운 주제이지만 일상 속의 작은 디테일에서 그 예를 찾아내 표현하고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작업을 하고 싶습니다.
티스토리 뷰
whenever wherever workshop at Kandy, Sri Lanka 스리랑카 /making hand with LANwire
좋아은경 2016. 12. 26. 23:43친구의 시아버지와 아주 간단한 단어로 이야기를 이어가다 전시 리플렛을 자기소개서 마냥 건네드렸어요.
시선이 한참 '손 a series of hand objects'에 머무르시더니 펜을 달라는 듯한 손짓을 급하게 하십니다. 아주 급박하게. 어서어서!
사뭇 진지한 얼굴로 쓱쓱 자신의 손을 그리고는 눈이 마주칩니다. 그리고 세상 호탕하게. 으하하하!
쏜살같이 배낭에서 철사를 꺼내왔습니다.
불쑥 찾아온 이방인을 환대하는 투박하고 다정한 손을 만났습니다.
언제 어디서나 whenever wherever workshop.
- TAG
- make-hands, whenever-wherever-workshop, workshop, WWW, 스리랑카, 워크숍
티스토리 뷰
whenever wherever workshop at Colombo, Sri Lanka 스리랑카 /making birds with LANwire
좋아은경 2016. 12. 26. 23:43- TAG
- make-birds, whenever-wherever-workshop, workshop, WWW, 스리랑카, 워크숍
티스토리 뷰
아시아의 환경과 평화를 위한 아주 특별한 여행, 2016년도 피스&그린보트에 초대받아 7월 30일부터 8월 7일까지 항해일정을 마쳤습니다.
공식적으로 진행한 3번의 선내프로그램(→) 이외에도 철사와 플라이어를 가지고 다니며 갑판, 복도, 객실 등 피스보트 곳곳에서 만나는 사람들과 whenever wherever workshop 시간을 가졌습니다.
피스 & 그린보트 2016 <응답하라 2030, 기후변화시대 新삼국지>
http://www.greenboat.org/
Peace & Green Boat 2016 Asian Regional Voyage
http://peaceboat.org/english/?page=view&nr=125&type=4&menu=64
- TAG
- green-boat, make-birds, whenever-wherever-workshop, workshop, WWW, 워크숍, 환경재단